<p></p><br /><br />지금부터는 청와대 특별 감찰반 출신 수사관의 폭로 파문을 집중 보도하겠습니다. <br> <br>우윤근 주 러시아 대사의 비위 보고서를 작성했다는 이유로 청와대에서 쫓겨났다고 주장한 김모 수사관에 대해서 검찰이 강제 수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김 수사관을 비리 혐의 피의자로 지목하고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먼저, 김남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인 사건을 경찰에 문의한 의혹으로 감찰 조사를 받다가 골프 접대 의혹도 불거진 김모 수사관이 청와대 특별감찰반에서 검찰로 원대 복귀조치된 건 지난달 14일입니다. <br> <br>그로부터 꼭 한 달만인 그제 대검 감찰본부가 김 수사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해 강제 수사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영장을 발부받아 김 수사관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청와대 감찰 당시 드러난 골프 접대 의혹과 관련 뇌물 수수 혐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에 대해 김 수사관이나 골프 접대 제공자로 지목된 건설업자 최모 씨는 모두 혐의를 부인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 씨 / 건설업자 (지난 2일)] <br>"김모 수사관 알긴 아는데…나 자신이 골프를 잘 못 쳐요." <br><br>김 수사관은 감찰 조사에서 "지인 사건을 경찰에 문의한 의혹만 감찰에 동의한 것"이라면서 <br> <br>"다른 의혹까지 감찰하는 것은 불법 감찰"이라고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이와 별개로 김 수사관은 공무상 기밀누설 혐의까지 받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김 수사관이 우윤근 주 러시아대사에 대한 비위 보고서를 언론에 유출한 것과 관련 청와대가 검찰 수사의뢰를 검토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김 수사관이 인사 검증 의무를 방기했다고 지목한 조국 대통령 민정수석도 허위사실 공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할지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 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오수현